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군전세객차
- 교환학생
- 호주
- Scape
- 호주비자신체검사
- 1421번
- 호주기숙사
- UTS
- 교통법규
- 교통안전관리론
- C
- C++
- c언어
- 백준
- 나무꾼이다솜
- 시드니
- 운전이론
- scapesydneycentral
- 교환학생짐싸기리스트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교환학생짐싸기
- 교환학생짐
- 호주학생비자
- 시드니기숙사
- 교통안전법
- subclass500
- BOJ
- 호주휴대폰개통
- 열차운전
- 철도공학
- Today
- Total
탐정사무소
예상문제 오답노트 본문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60022
어린이·고령자 맞춤형 ‘찾아가는 교통안전 교육’ 실시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운영, 정책뉴스, 정부 보도자료, 설명자료, 국정과제, 대한민명 정부 소개 등 제공
www.korea.kr
이 정도 수준의 문제가 나오지만 막상 처음 풀면 틀리게 되는 안전문제.
2 교통기관의 3대요소: 동력, 운반구, 통로(이용자x)
15 인적자원 관리법의 변천사: 과학적 관리법 - 인간관계 관리법 - 참여적 관리법
25 운송사업체의 최고경영진의 마음가짐: 상벌을 시행할 때에도 참석해야 한다
33 교통사고의 분석기법 중 차종별 분석은 사례적 분석이 아닌 통계적 분석
41 지필검사와 기기검사
지필검사 | 지능검사 / 성격검사 / 운동능력검사 / 지각속도검사 |
기기검사 | 속도추정반응검사 / 초조반응검사 / 처치판단검사 / 중복작업반응검사 / 원근거리추정검사 |
45 업무나 계층이 조직 내에서 얼마나 나누어져 있는가: 전문화
47 집단의사결정: 일의 전문화가 가능해짐. 그러나 시간과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단점 존재
50 조직구성원들이 집단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헌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 리더십
53 효과적인 조직이 되기 위한 기본전제: 의사소통(communication)
55 교통안전관리의 3대 기능: ⓐ계획기능 ⓑ단속기능 ⓒ개선기능
61 버나드가 제시한 조직의 3요소: 공통목적 / 의사소통 / 공헌의욕
62 사이먼이 제시한 의사결정자에 대한 모형: 관리인 가설
64 버나드의 조직이론 중 조직의 목표달성도 - 유효성 / 개인의 동기만족도 - 능률
68 기업의 조직화: 라인과 스텝형 조직은 직능형 조직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함
69 환경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업무의 조정이 용이하면서도 책임소재가 명확한 조직: 사업부제 조직
7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경영관리론의 모태라고는 할 수 없음.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공장의 생산관리 및 노무관리에 불과하는 비판을 받았기 때문
74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에 저가격, 고임금은 없음. 저가격, 고임금은 포드 시스템의 내용
77 교통사고 발생시 조치요령: 현장보존(연속적 사고의 방지) → 부상자 응급치료 → 사고보고 → 정보수집
83 허즈버그의 2요인이론 중 위생요인(직무불만족 초래하는 요인): 대인관계는 해당되고, 인정감은 위생요인 아님
86 ERG이론: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설의 가정을 배제하고, 한 가지 이상의 욕구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
88 ERG이론: 즉, 욕구는 만족-진행과 되는 것이 아니라 좌절-퇴행하기도 하는 것이라고 주장
89 히즈버그의 2요인이론: 임금수준(위생요인)이 높아지면 만족도가 증가하는게 아니라 불만족도가 줄어드는 것
90 애덤스의 공정성이론: 사람들은 자신의 지각된 산출과 지각된 투입의 비율을 타인과 비교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교에서 양쪽의 비율이 같으면 공정상태가 되어 만족한다고 인식
92 페이욜의 경영의 관리활동에서 재무는 빠짐. 재무활동이라고 따로 있음.
93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경제적 접근이었지, 사회적 접근법이 아니었음.
94 맥그리거의 X이론(인간은 선천적으로 게으르다), Y이론(인간은 동기만 부여되면 자기통제적이고 창족적이다)
95 103 ZD(Zero Defect, 전사적인 품질관리운동) 운동: 조성단계, 출발단계, 실행 및 운영단계(종합평가단계x, 피드백이라고 하지)
96 Z이론(자유방임형): 평가와 승진이 느림
97 목표에 의한 관리(MBO)를 주장한 인물: 드러커
115 목표에 의한 관리(MBO): 부하가 상사와의 협의하에 양적으로 측정 가능한 구체적이고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
117 MBO: 중앙집권적 목표수립이 아닌, 종업원의 참여를 통한 목표수립 및 달성.
99 유사성 비교를 통해 아이디어를 찾는 기법: 시그니피컨트(Significant) 방법
100 현장안전회의의 적당한 구성인원인수: 5~6인
105 소집단의 구성인원수: 6~10명
108 장파장의 색은 따뜻한 느낌, 단파장의 색은 차가운 느낌(빨강의 파장>보라의 파장)
109 최고관리층의 기능: 수탁기능(受託, 다른 사람의 의뢰나 부탁을 받음). 부문간의 상호조정은 중간관리층의 기능
118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직무수행요건에 초점을 두어 작성한 결과물: 직무명세서(직무평가서x)
120 개인의 일부 특성을 기반으로 그 개인 전체를 평가하는 지각경향: 후광효과(=현혹효과, halo effect)
121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성능, 구조 등에 관한 지식을 숙지시키는 제도: 일상점검 방법지도(도입교육 재교육x)
123 직장 내 교육훈련(OJT): 통일된 내용의 훈련 곤란. 통일된 내용 훈련하려면 직업훈련소나 연수원으로 가야함(Off JT)
124 교육은 개인목표를 강조, 훈련은 조직목표를 강조
125 교육훈련방법의 종류 기준이 다름. 대상에 따라 나눌 수도 있고, 장소에 따라 나눌 수도 있는데 직장 내 훈련은 장소 분류
128 감독자가 직접 일하는 과정에서 부하 종업원을 개별적으로 훈련시키는 것: 도제훈련(직장 내 훈련 OJT x)
131 인지부조화이론을 주장한 학자: 페스팅거(Festinger)
132 평균임금이란: 3개월간에 지급된 총임금을 총일수로 나눈 것(한 달 아님)
133 보통사람의 시야각도: 좌우 각각 160도(180도-20도)
134 자동차가 빨라지면, 시야는 좁아진다
137 표준운전시간: 생리적으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연속시간(정신적 피로도고 육체적 피로도고 관련x)
139 안전진단의 5단계: 예비조사-안전진단(先)-종합정비-대책강구-개선목표
141 핸들의 점검사항: 핸들의 유격(바퀴의 움직임 없는 상태에서 핸들이 움직인 여유거리) 점검해야함(핸들의 높이는 점검 불필요)
146 운행계획의 합리적인 순환도: 계획-실시-통제-조정(조정이 마지막)
147 교통사고조사에서 임시조사는 없음
155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5단계: 안전관리(先) - 사실에 대한 발견 - 분석 - 시정방법의 설정 - 개선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2과목 교통안전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안전관리론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21.08.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