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사무소

제1절 철도일반 오답노트 본문

철도교통안전관리자/3과목 철도공학

제1절 철도일반 오답노트

탐정이죠 2021. 8. 22. 09:10
반응형

01 운전에 현리하고 신호기 수가 적은 신호방식: 속도표시방식(진로표시방식은 불편)

 

03 신호현시방법 중 3위식: 열차진로의 2구간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13 크랭크 축에서 실제로 외부에 전달되는 마력: 제동마력(견인마력x)

 

14 교류가 직류보다 유리한 점: 점착성능이 우수하여 소형으로도 대량 하중 견인 가능

 

19 레일 대신 공중에 강색을 가설한 특수철도: 가공철도

 

22 전차전용선에서 복선의 선로용량: 340~430회(많은 편이네)

 

23 55 철도의 특징: 기동성x(신속성, 신뢰성, 안정성, 친환경성, 경제성, 효율성, 대향수송성, 편리성, 장거리성 등등)

 

25 전국에 일관된 운행설비나 영업 시스템이 확보되는 철도의 특성: 장거리성

 

28 노선세력권의 범위: 자동차 등의 교통편이 불량할 경우 10~30km 정도(10~15km x)

 

29 31 철도의 역사: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는 1899년 제물포와 노량진을 잇는 경인선이다(경부선 완공은 1905년)

 

36 노면철도: 1선의 궤도가 아니라 2선의 궤도로 운영됨

 

37 철도계획세력권의 조사내용: 자연조건, 경제적조건, 행정구역 등이 있고 철도는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환경조건은 필요x

 

39 간선철도, 주요선 철도, 지선철도는 수송상의 중요도에 따른 구분이다

 

45 선로이용률: 열차의 시간대별 분산도와는 관련 없음

 

47 디젤 전기기관차에서 차륜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 견인전동기(동력접촉기x)

 

49 철도차량의 제동장치에 필요없는 것: 유압관(삼동 밸브, 공기통, 압축기 등은 쓴다)

 

53 견인정수 산정에 있어서 화물수송량은 관련이 없다

 

61 전기동차와 객차의 차륜지름: 860mm가 표준

 

64 전동기로 산악을 오르는 강색철도의 평균구배는  200~250%(매우 큼)

 

67 철도의 종류 구분: 공영철도는 일반 경영상의 분류(국유, 지방, 전용은 법제상 분류)

 

71 주행저항: 마찰저항은 속도와 축중에 비례. 공기저항 및 동요에 따른 저항은 속도의 자승에 비례.

 

73 철도신호기의 구조상 분류: 기계식, 색등식, 등열식 (전기식x)

 

77 철도투자 평가항목: 기술평가, 재무평가, 경영평가(운용평가는 실제 환경에서 하는 것이라 투자평가항목x)

 

79 급구배 철도가 아닌 것: 모노레일

 

80 차축간 거리로 선로곡선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축간거리를 제한하고 있는 것: 고정축거(차축한계x)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