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호주
- UTS
- 시드니기숙사
- 시드니
- subclass500
- C++
- 교환학생짐
- 교통안전관리론
- 교환학생짐싸기리스트
- C
- 호주비자신체검사
- 열차운전
- BOJ
- 군전세객차
- 철도공학
- 나무꾼이다솜
- 교통안전법
- c언어
- 백준
- 교통법규
- 1421번
- 교환학생짐싸기
- scapesydneycentral
- 호주학생비자
- 호주기숙사
- 호주휴대폰개통
- Scape
- 교환학생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운전이론
- Today
- Total
탐정사무소
제2절 선로 오답노트 본문
05 궤도에 작용하는 축방향력: 횡압과 반대되는 용어임
06 곡선의 불균형 원심력에 의한 횡압: 캔트 설정속도>실제 주행속도일 때는 곡선내측으로 횡압작용, 캔트 설정속도<실제 수행속도일 때는 외궤쪽으로 횡압작용
+ 이 횡압의 발생원인: ⓐ곡선의 불균형 원심력에 의한 횡압 ⓑ차량동요에 의한 횡압 ⓒ궤도틀림에 의한 횡압
07 레일앵커: 이음매판이 아닌 '침목측면'에 밀착시켜 설치
09 궤도에 작용하는 수직력의 증감요인: ⓐ곡선에서의 불평형 원심력 ⓑ차량동요 관성력 ⓒ차륜답면의 부정에 기인한 충격력
10 레일의 축방향력 중 비중이 가장 큰 것: 온도변화에 의한 축력
12 궤도의 허용도상압력: ③ 4kg/cm^2 (생각보다 값이 작네)
13 곡선에서 건축한계를 확대하는 요령: 완화곡선상에서만 체감
14 사용목적에 따른 교량의 분류: ⓐ피일교(범람지에) ⓑ가도교(철도와 도로 교차) ⓒ과선교(가로질러)
15 철도에서 주로 사용하는 레일: 평저레일 (이름에서 주로 사용하는게 느껴짐)
16 N형 레일: 다른 레일보다 높이가 커서 2차 모멘트에 효율적
17 궤도의 충격률= 0.53%×열차의 속도 즉, 속도에 비례
21 선로의 등급 결정: 투자평가를 위해서x. 경제적 건설과 유지보수를 위함
26 도상재료: 자갈, 콘크리트를 쓰지만 모래는 x
28 산화철과 알루미늄을 혼합한 용재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테르미트 용접(Thermit)
33 국내철도에서 사용하는 장대 레일 신축이음매: 편측첨단형(양측x)
34 제강시의 탈산제로 작용하는 성분: 망간(산소와 결합 용이)
35 레일 훼손의 원인: 레일의 하중이 강도에 비해 약할 때 → 레일의 강도가 하중에 비해 약할 때
36 레일의 내구년한: 레일의 통과 톤수가 2~5억톤 정도면 표준(10억은 너무 무겁다)
37 레일 이음매의 구비조건: 이음매 이외의 부분과 강도, 강성이 동등해야 한다
39 협궤의 장점: 표준궤보다 폭이 좁은 궤간으로, 건설비와 유지비가 저렴하다
42 선로구조물 돋기방법: 수평쌓기법, 전방쌓기법, 비계쌓기법 (후방쌓기법x)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3과목 철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절 철도일반 오답노트 (0) | 2021.08.22 |
---|---|
철도공학 기출문제 오답노트(2020.11) (0) | 2021.08.20 |
제5절 선로보수 오답노트 (0) | 2021.08.19 |
제4절 선로설비 및 정차장설비 오답노트 (0) | 2021.08.17 |
제3절 분기기 및 장대레일 오답노트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