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백준
- 운전이론
- 교환학생
- 시드니
- 교통법규
- 호주
- 교환학생짐싸기
- 교환학생짐
- 군전세객차
- 호주기숙사
- 시드니기숙사
- C++
- UTS
- BOJ
- 교통안전관리론
- 열차운전
- 호주학생비자
- 철도공학
- 호주휴대폰개통
- Scape
- 1421번
- subclass500
- 교환학생짐싸기리스트
- c언어
- scapesydneycentral
- 나무꾼이다솜
- 교통안전법
- 호주비자신체검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C
- Today
- Total
탐정사무소
6장 운전계획, 7장 차량의 진동 본문
1절 운전계획 일반
- 최소자승법은 과거 수송실적의 평균 편차를 감안하여 연차적으로 편차만큼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는 방법
- GNP회귀분석법은 GNP성장과 수송실적의 증가가 함수관계에 있다고 가정하고 추정하는 방법
- 중량전철은 100만명 이상의 도시로, 경량전철은 50만명 이상의 도시로 한다
- 교통량을 조사하는 방법: 시계열분석법(시간적 경과) / 요인분석법 / 중력 모델법 / OD(origin destination)표 작성법
2절 열차계획
- 운전선도(Run Cure Diagram): 거리기준 운전선도와 시각기준 운전선도로 구분된다. 열차의 속도, 거리 시분, 전력소모량 등의 관계를 역학적으로 표시한 도표이다
- 열차 DIA: 해당 노선의 하루동안 운행되는 모든 열차의 운행스케쥴을 한 장의 도표로 나타내는 그래프.
1시간 DIA, 10분 DIA, 2분 DIA, 1분 DIA가 있다.
3절 차량계획 및 운전설비계획
- 소요차량 편성 수 산출: (표정시분+양단역의 회차시분) x 2 / 최소운행시격
- 선로용량의 종류: 한계용량, 실용용량, 경제용량
1절 철도차량의 진동
직선진동 | 회전진동 | |
x축 | 전 후 진동 | 로우링(롤링) |
y축 | 좌 우 진동 | 핏칭 |
z축 | 상 하 진동 | 사행동 |
△ 굵은 글씨가 스프링 위 중량에 대한 상대운동, 일반 글씨가 스프링 아래 중량의 상대운동
2절 사행동(Snake motion)
- 사행동 최소화 방안: 사행동 파장을 길게 한다 / 궤간을 넓게 한다 / 차륜 직경을 크게 한다 / 차륜답변 구배를 작게 한다 / 대차와 윤축 지지를 강하게 한다
- 횡압에 의한 사행동: 원심력이 차륜을 바깥쪽인 외측으로 밀어서 횡압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사행동
- 탈선계수: Q/P (여기서 Q는 Lateral Force 횡압, P는 Wheel load)